본문 바로가기
함박웃음짓는 행복한기업/(주)상봉에스디

학교 방역소독의 개념 - 주)상봉에스디

by sbsd 2019. 9. 27.

"방역소독"은 매우 막연하고 광범위한 뜻을 가진 용어이나,

 구체적으로는 살균,살충 및 구서(驅鼠)를 의미한다.


'살균'이란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성, 리켓치아성 병원체를 죽이는 것이고,

'살충'이란 질병을 매개하는 해충을 제거하여 감염병 유행을 사전 예방 또는 차단함을 의미한다.


'구서(驅鼠)'는 질병의 숙주동물인 쥐를 구제하는 것이다. 특정지역에서 어떤 감염병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여건이 주어졌을 때, 또는 이미 감염병의 유행이 발생했을 때 방역소독 작업을 실시하는데 역학적 양상, 전파 방법, 숙주 동물과 매개종의 습성 등 필용한 모든 지식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후 살균, 살충 또는 구서 중 필용한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방역소독 작업을 계획 실시함에 있어 막연히 해충(또는 쥐)을 구제한다는 것 보다는 구체적으로 대상 감염병을 매개하는 종(Species)을 구제 대상으로 초점을 좁혀야 한다.

 

예를 들면 구제 대상이 모기인가 파리인가 정해야 하고, 구제 대상이 모기라면 어떤 종류의 모기인가를 정확하게 알아야 해당 모기 종에 따르는 방제 계획을 세울 수 있다. 이는 해당 모기 종에 따라 발생 발생 장소와 생태가 다르기 때문에 종에 따르는 특성에 맞추어 방제 계획을 세워야 효과적인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말라리아 예방 목적이라면, 말라리아 매개종인 '중국얼룩날개모기'를 , 일본뇌염 발생을 차단하려면 뇌염 매개종인 '작은빨간집모기'를 방제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방제 방법의 선정, 실시 시기 등은 대상 매개종(Vector species)의 습성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