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카바이러스 감염증 (Zika virus disease)
▣ 개요
1947년 우간다 붉은털 원숭이에서 바이러스가 최초로 확인되었고, 인체감염사례는 1952년 우간다와 탄자니아에서 처음 보고
▣ 질병특성
○ 원인 병원체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뎅기열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와 동일한 Flavivirus 계열
○ 감염 경로
- (주된 전파) 숲모기*에 의한 전파로 감염되며 감염자와 일상적인 접촉으로 감염되지 않음
* 이집트 숲모기(Aedes aegypt)가 주된 매개체 이나 국내 서식하는 흰줄 숲모기(Aedes albopictus)도 전파 가능 - (수혈 전파) 관련 문헌 보고는 없지만 잠재적으로 수혈에 의한 전파 가능성 제기
- (성접촉에 의한 전파) 성접촉에 의해 감염되었을 가능성 있는 사례 보고 있으며, 감염회복 후 2주까지 정액에서 바이러스 확인
○ 임상적 특징
- (증상) 특징적인 증상은 반점구신성 발진을 동반한 갑작스런 발열이고, 관절통, 결막염, 근육통, 두통이 동반될 수 있음
- (기간 등) 증상은 3~7일 정도 경미하게 진행되며 약 80%는 불현성 감염
- (합병증) 지카바이러스 감염증가로 인해 소두증 신생아 출산 증가와 길랑바레증후군 증가 경향이 보고되고 있으나 원인 여부에 대해서는 조사가 진행중임
○ 지카바이러스 관련 보도자료
[붙임1] 2016. 1. 20. 임신부 중남미 여행 연기 권고(첨부파일 참고)
[붙임2] 2016. 1. 26. 질병관리본부 지카바이러스 대비태세 강화(첨부파일 참고)
[붙임3] 2016. 1. 29. 지카바이러스 정확히 알고 예방하세요(첨부파일 참고)
[붙임4] 2016. 1. 29.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안내문(첨부파일 참고)
▣ 지카바이러스 관련 추가정보 사이트 링크
□ 첨부파일
출처 : 주)상봉에스디
글쓴이 : 소독명가 원글보기
메모 :
'함박웃음짓는 행복한기업 > (주)상봉에스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학교는 정화조 및 지하보일러실을 관리하여 지카바이러스를 지키는게 최우선. (0) | 2016.02.11 |
---|---|
[스크랩]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Zika virus disease) (0) | 2016.02.04 |
[스크랩] 아뿔사 (주)상봉에스디가 큰일 났어요. (0) | 2016.02.02 |
[스크랩] 신학기 대비 학교 청소- 많은실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는 업체에 의뢰하는 것이 최우선 (0) | 2016.01.13 |
[스크랩] 말끔하게 학교 교실청소를 원하신다면~ 주식회사 상봉에스디 (0) | 2016.01.01 |